WITT세화 기술자료센터

현장 실무자와 기술자를 위한 가스안전기기 정보 블로그입니다.

분류 전체보기 43

플렌지 규격 마스터 시리즈 1회: 플렌지 기초 및 규격 체계 이해

플렌지는 배관 시스템에서 파이프, 밸브, 펌프 및 기타 장비를 연결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산업 현장에서 플렌지 선택은 배관 시스템의 안전성, 효율성 및 내구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본 시리즈에서는 플렌지 규격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실무자들이 정확한 플렌지를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목차플렌지의 기본 개념과 종류플렌지 치수 용어 해설국가별 규격 체계 소개(KS, JIS, DIN, ANSI)규격 간 주요 차이점실무자를 위한 규격 선택 가이드FAQ1. 플렌지의 기본 개념과 종류1-1 플렌지의 정의와 기능플렌지(Flange)는 배관 시스템에서 두 구성품을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디스크 또는 링 형태의 부품입니다. 플렌지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배관 시스템의 부품..

00_기술자료 2025.04.25

백 프레셔 레귤레이터와 릴리프 밸브의 핵심 차이점 및 산업별 적용 사례 분석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 현장에서 압력 제어에 필수적인 두 가지 장치인 **백 프레셔 레귤레이터(Back Pressure Regulator)**와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의 차이점에 대해 전문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두 장치 모두 시스템 내 과압을 방지하는 데 사용되지만, 작동 원리와 적용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1. 백 프레셔 레귤레이터와 릴리프 밸브의 기본 개념 및 작동 원리1.1 백 프레셔 레귤레이터(Back Pressure Regulator)의 정의 및 작동 원리백 프레셔 레귤레이터는 업스트림(상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된 제어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시스템 내부 압력이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밸브가 열려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원하는 압력을 유지합니다. 백..

05_안전밸브 2025.04.25

화염방지기와 인화방지망의 차이점 – 설치 기준과 적용 조건 완벽 비교

본문산업 현장에서 가연성 가스 및 인화성 액체를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해서는 설비 조건에 맞는 방지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화염방지기와 인화방지망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설치 기준과 용도가 명확히 구분됩니다. 본 글에서는 관련 법령 및 기술지침을 바탕으로 두 장치의 차이점과 설치 조건을 정리합니다. 1. 화염방지기의 정의 및 설치 조건화염방지기(Flame Arrestor)란 가연성 가스 또는 인화성 액체가 저장되거나 이송되는 설비 내·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폭연(Deflagration) 및 폭굉(Detonation)에 의한 화염이 인접 설비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기입니다.설치 조건:해당 물질의 인화점이 100℃ 이하인 경우저장 또는 취급 온도가 인화점을 초과하는 경우..

04_화염방지기 2025.04.24

IEC 가스 그룹별 위험도 분류 기준 완벽 정리 – 화염방지기 선택 가이드

본문국제전기표준회의(IEC)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가연성 및 폭발성 가스를 그룹 IIA, IIB, IIC로 분류하여 각 물질의 점화 위험도 및 설계 기준을 제시합니다. 이 분류는 MESG(Minimum Experimental Safe Gap) 수치를 기반으로 하며, 수치가 작을수록 점화 전파의 가능성이 높고 고위험군으로 분류됩니다. 화염방지기(Flame Arrestor)는 해당 가스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선택해야 하며, 본 문서에서는 IEC 그룹별 가스 목록, MESG 수치, 화학식, 설계 적용 기준을 정리하였습니다. 1. IEC 그룹 IIA – 낮은 위험도 가스 영문명한글명화학식MSEG(mm)Acetaldehyde아세트알데히드C₂H₄O–Acetic Acid아세트산CH₃COOH–Acetone아세톤..

04_화염방지기 2025.04.24

SilcoNert 2000: 초고순도 분석용 가스라인을 위한 최적의 내흡착 코팅 솔루션

초저농도 분석을 위한 가스 샘플링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시료 손실 방지와 응답 시간 개선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기술로 SilcoNert® 2000 코팅이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SilcoNert 2000의 기술적 원리와 주요 성능 특성을 정리하여 소개합니다. 1. SilcoNert 2000 개요SilcoNert® 2000은 기상 화학 증착(CVD) 방식으로 금속 표면에 적용되는 수소화 아모르포스 실리콘 기반의 기능성 코팅입니다. 이 코팅은 극도로 비활성이며, 다음과 같은 분야에 적합합니다:황(Sulfur) 및 수은(Mercury) 분석암모니아(Ammonia) 검출초저농도(2. 주요 특성 및 사양항목사양코팅 구조기능화된 아모르포스 실리콘적용 방식Thermal..

00_기술자료 2025.04.23

CO₂ 혼합가스 500~2000ppm 정밀 제어 방법: MFC 희석계산 공식 및 유량설정표

Mass Flow Controller(MFC)를 이용한 저농도 CO₂ 혼합가스 생성은 환경 분석, 반도체, 생명과학 등 정밀한 농도 제어가 필요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CO₂ 5% 혼합가스를 활용하여 500~2000 ppm 범위의 CO₂ 농도를 구현하는 계산 이론, 설정값 산출 방법 및 실무 적용 시 주의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 1. 시스템 구성 및 가스 스펙CO₂ 희석 시스템은 두 개의 MFC를 사용하여 구성됩니다. 이 시스템은 하나의 MFC(MFC1)를 통해 CO₂ 5% 혼합가스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MFC(MFC2)를 통해 희석가스(Ar 또는 N₂)를 공급하여 원하는 농도를 생성합니다.구설요소가스 종류Full scale농도MFC1CO₂ in Ar100 SCCM5% CO..

10_가스혼합기 2025.04.23

CO₂ 저농도 혼합가스 제어 방법: MFC를 활용한 정밀 혼합 솔루션 가이드

CO₂ 저농도 혼합가스(500~2000 ppm)를 안정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다양한 산업 및 연구 환경에서 필수적인 요구사항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Mass Flow Controller(MFC)를 활용한 CO₂ 희석 방식의 기술적 원리와 실무 적용 방안을 소개합니다. 1. CO₂ 희석 방식의 개요500~2000 ppm 수준의 저농도 CO₂ 혼합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고려됩니다:직접 희석 방식: 100% CO₂를 다단계 희석하여 목표 농도를 달성Pre-mixed 가스 희석 방식: 5% CO₂ in N₂ 또는 Ar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2차 희석실제 적용에서는 Pre-mixed 혼합가스를 사용하는 방식이 정밀도, 안정성, 반복성 면에서 더욱 우수합니다​. 2. 권장 시스템 구성 및 사양..

10_가스혼합기 2025.04.23

역화방지기(Flashback Arrestor) 설치 위치 가이드 - 안전한 가스설비를 위한 필수 지침

가스설비나 용접용 배관 시스템에서 **역화방지기(Flashback Arrestor)**는 화재와 폭발을 예방하는 필수 안전 장치입니다. 하지만 장치를 설치하는 위치가 적절하지 않다면, 역화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위험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역화방지기의 설치 위치 원칙과 유형별 기준, 설치 시 유의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1. 역화방지기란?역화방지기는 화염이나 역류하는 가스가 공급원 또는 고압 설비로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가연성 가스(수소, 아세틸렌, LPG 등)**와 산소를 함께 사용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며, 배관 내부에서 폭굉이나 폭연이 발생했을 때 화염이 반대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합니다.2. 설치 목적화염 역류로 인한 폭발 예방설비 및 인명..

03_역화방지기 2025.04.22

"나사 규격 비교표: PT / NPT / G 차이와 용도 완벽 정리"

배관, 유체 제어 장비, 가스 관련 설비에서 나사 규격은 단순한 연결이 아닌, 기밀성과 안전성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 외형이 유사해 혼동하기 쉬운 PT, NPT, G 규격은 실제로 기준, 구조, 씰링 방식에 있어 명확한 차이를 가집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세 가지 나사 규격의 차이점과 각각의 대한민국 국가표준(KS) 기준을 정리해 드립니다.1. PT 나사 (Pipe Thread – ISO Tapered)국제 규격: ISO 7-1 (일본 JIS B0203)한국 규격: KS B 0222 (관용 테이퍼 나사)형태: 수나사·암나사 모두 테이퍼형나사 각도: 55도씰링 방식: 테프론 테이프 또는 액상 실란트를 사용한 나사 체결 방식특징: 체결 시 나사 면 자체에서 씰링 효과 발생주요 사용처: 고압 가스, 산업용..

00_기술자료 2025.04.22

MFC /MFM 가스별 Conversion Factor 안내 – KOFLOC / Siargo

1. 개요Conversion Factor (C.F)는 특정 가스로 교정된 MFC(Mass Flow Controller) 또는 MFM(Mass Flow Meter)를 다른 가스로 사용할 경우, 실제 유량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정 계수이다. 예를 들어, 질소(N₂)로 보정된 MFC를 이산화탄소(CO₂)로 사용할경우, 실제 유량은 표시 유량 × C.F로 계산된다. 따라서 다양한 가스를 사용하는 실험, 제조 공정에서 정확한 유량 제어를 위한 핵심정보이다.2. KOFLOC MFC – 가스별 Conversion FactorGas NameChemical SymbolC.FAirAir1.00NitrogenN₂1.00OxygenO₂1.00ArgonAr1.44HeliumHe1.43HydrogenH₂1.02Carb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