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T세화 기술자료센터

현장 실무자와 기술자를 위한 가스안전기기 정보 블로그입니다.

00_기술자료

밸브 씰링 재질 선정 가이드: 부식성 환경과 고온 조건별 기술적 성능 분석

WITTGUY 2025. 7. 9. 11:14

 

안녕하세요 WITTGUY 입니다.

산업 현장에서 밸브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인 씰링 재질 선정은 기술적 정확성이 요구되는 중요한 업무입니다. 부적절한 재질 선택으로 인한 누설 사고, 조기 교체, 시스템 다운타임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안전 위험을 초래합니다. 본 기술문서에서는 실무진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최적의 씸링 재질을 선정할 수 있도록 상세한 기술 데이터와 실용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목차

  1. 씰링 재질 선정의 기술적 요구사항
  2. 재질별 물성 데이터 및 성능 분석
  3. 부식성 매체별 재질 호환성 매트릭스
  4. 온도-압력 조건별 재질 성능 한계
  5. 산업 분야별 재질 선정 체크리스트

1. 씰링 재질 선정의 기술적 요구사항

1.1 성능 평가 핵심 파라미터

씰링 재질의 성능 평가는 다음 기술적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화학적 안정성 평가 지표

  • 화학적 호환성 지수(Chemical Compatibility Index)
  • 부식 속도(Corrosion Rate, mm/year)
  • 용매 팽윤률(Solvent Swelling Ratio, %)

기계적 특성 평가 기준

  •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MPa)
  • 압축영구변형률(Compression Set, %)
  • 듀로미터 경도(Shore A/D Hardness)

1.2 선정 프로세스 체크포인트

기술적 검증 단계별 체크리스트

단계 필수 확인사항 기술기준 검증방법
1차 스크리닝 매체 호환성 팽윤률 <10% ASTM D471 침지시험
2차 평가 온도-압력 범위 안전계수 2.0 이상 ASTM D412 인장시험
3차 검증 장기 안정성 5년 이상 실증데이터 가속열화시험
최종 승인 규격 적합성 산업표준 만족 제3자 인증

2. 재질별 물성 데이터 및 성능 분석

2.1 엘라스토머 재질 물성 비교표

주요 엘라스토머 재질 기술 데이터

재질코드 인장강도(MPa) 경도(Shore A)  사용온도(℃) 내화학성등급 적용표준
NBR 10-25 40-90 -40~+120 C급(보통) ASTM D2000, KS M 6518
EPDM 8-20 30-90 -50~+150 A급(우수) ASTM D2000, JIS K 6380
FKM 10-30 55-95 -20~+200 AA급(최우수) ASTM D1418, ISO 1629
VMQ 4-10 20-80 -60~+200 B급(양호) ASTM D2000, KS M 6529
CR 15-25 40-90 -40~+100 B급(양호) ASTM D2000, JIS K 6380

 

2.2 열가소성 수지 재질 성능 매트릭스

고성능 열가소성 재질 기술 스펙

재질명 용융점(℃)  인장강도(MPa) 내화학성 방사선내성 적용온도(℃)
PTFE 327 20-35 최우수 우수(>100kGy) -200~+260
PEEK 343 90-100 우수 최우수(>1000kGy) -50~+250
POM 165 60-70 보통 불량(<50kGy) -40~+100
PCTFE 210 25-30 우수 우수(>200kGy) -240~+200
PPS 280 65-75 우수 양호(>500kGy) -40~+220

 

2.3 금속 재질 내부식성 데이터

금속 재질 부식 저항성 분석표

재질명  부식속도(mm/year)      내응력부식균열성  내공식성지수
  HCl(10%) H2SO4(50%) NaOH(20%) (KISCC, MPa√m) (PREN)
SUS316L 0.05 0.02 0.01 25 25
하스텔로이 C-276 0.001 0.001 0.005 45 68
인코넬 625 0.002 0.003 0.008 40 51
모넬 400 0.02 0.15 0.01 30 16
듀플렉스 2205 0.03 0.01 0.005 35 35

 

3. 부식성 매체별 재질 호환성 매트릭스

3.1 강산성 매체 대응 재질 선정표

강산 환경별 재질 적합성 기술 데이터   

화학물질  농도(%) 온도(℃)  1차 선택재질 부식속도(mm/year) 예상수명(년)
염산(HCl) 10-37 20-80 PTFE, 하스텔로이 <0.001, 0.001 >20, 15-20
황산(H2SO4) 50-98 20-100 PTFE, 하스텔로이 <0.001, 0.002 >20, 15-18
질산(HNO3) 10-70 20-60 PTFE, 인코넬 625 <0.001, 0.005 >20, 10-15
불산(HF) 5-48 20-50 하스텔로이, 모넬 0.002, 0.01 15-20, 8-12
인산(H3PO4) 85 20-80 FKM, SUS316L 0.01, 0.02 10-15, 8-10

 

3.2 알칼리성 매체 재질 선정 기준

알칼리 환경 재질 적합성 및 성능 한계

화학물질  pH 온도(℃)   권장재질 응력균열 한계(MPa)  주의사항
NaOH 12-14 20-120 EPDM, 하스텔로이 200, 400 결정석출 방지
KOH 12-14 20-100 EPDM, FKM 180, 350 농도관리 필수
NH3 11-12 -30-80 EPDM, SUS316L 150, 300 NBR 절대금지
Ca(OH)2 12-13 20-60 EPDM, CR 120, 200 석회석 침적

 

3.3 유기용매 팽윤률 데이터

유기용매별 재질 팽윤률 및 호환성

용매명 재질별 팽윤률(%)       권장 적용한계
  NBR EPDM FKM PTFE (팽윤률 %)
메탄올 15 8 3 <1 <5
아세톤 35 25 8 <1 <10
톨루엔 40 30 5 <1 <8
MEK 45 20 6 <1 <10
에틸렌글리콜 5 3 2 2 <5

4. 온도-압력 조건별 재질 성능 한계

4.1 온도별 재질 성능 한계 분석

온도 조건별 재질 적용 한계 및 성능 변화

재질 온도구간별 성능 제한사항      
  극저온(-200~-50℃) 저온(-50~0℃) 고온(100~200℃) 극고온(200~400℃)
NBR 유리전이, 취성 발생 탄성모듈러스 증가 열분해 시작 사용불가
EPDM 결정화 진행 압축영구변형 증가 안정적 성능 산화 촉진
FKM 저온 탄성 저하 경도 상승 최적 성능구간 열분해 시작점
PTFE 크리프 증가 수축률 큼 크리프 가속화 분해 가스 발생

 

4.2 압력-온도 조합 적용 매트릭스

압력-온도 조건별 재질 적용 가능 영역

재질 압력(MPa) 적용 온도범위(℃)  제한 조건 안전계수
NBR 0.1-10 -20~100 방향족 용매 제한 2.0
EPDM 0.1-16 -40~130 유류 접촉 금지 2.5
FKM 0.1-20 0~180 강알칼리 주의 3.0
PTFE 0.1-25 -180~220 크리프 고려 4.0
하스텔로이 1-100 -200~600 수소취성 주의 1.5

5. 산업 분야별 재질 선정 체크리스트

5.1 석유화학 공정 재질 선정 기준

석유화학 공정별 기술 요구사항 및 선정 기준

공정구분  주요 매체 운전조건  1차 선택재질 기술검증 항목
분해공정 나프타, 에틸렌 800℃, 3MPa 인코넬, 하스텔로이 크래킹, 코킹 저항성
중합공정 단량체, 촉매 80℃, 2MPa FKM, PTFE 중합체 부착 방지
정제공정 탄화수소류 200℃, 5MPa FKM, NBR 황화수소 내성
저장시설 완제품 상온, 0.5MPa EPDM, NBR 장기 안정성

 

5.2 제약공정 재질 인증 기준

제약용 재질 규제 준수 및 인증 요구사항

적용단계 인증기준  필수시험항목 재질등급 문서화 요구사항
원료 접촉부 USP ClassVI, EP 3.1.9 급성독성, 용출시험 의료용 등급 DMF 등록
제조공정 FDA 21CFR 177 미생물시험, 세정검증 제약용 등급 변경관리 절차
포장공정 ISO 10993 시리즈 생체적합성, 세포독성 식품접촉 등급 이력추적 시스템
무균공정 ASME BPE 잔류물 분석, 미립자 초고순도 등급 완전한 인증서류

 

5.3 상하수도 시설 수명 예측 모델

상하수도용 재질 수명 예측 및 교체 계획

시설구분 재질 예측수명(년) 열화인자  모니터링 주기
급수시설 EPDM 15 잔류염소 2ppm 연 2회 경도측정
배수관로 NBR 10 토양산성도 pH 6 연 1회 외관검사
정수처리 FKM 12 오존 0.5ppm 분기 1회 팽윤측정
하수처리 CR 8 pH 변동 5-10 월 1회 표면상태

FAQ

Q1: 씰링 재질이 부풀어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씰링 재질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팽윤'이라고 합니다. 주로 화학물질이 재질 내부로 침투하면서 발생하는데, 특히 NBR 재질에 아세톤이나 톨루엔 같은 용매가 닿으면 30% 이상 부풀어 올라 누설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취급하는 화학물질에 맞는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Q2: 고무 씰링이 딱딱해지는 이유와 교체 시기는 언제인가요?

고무가 딱딱해지는 것은 '경화' 현상으로, 열이나 오존, 자외선에 노출되면서 발생합니다. 손으로 눌렀을 때 탄성이 없고 표면에 균열이 보이면 교체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NBR은 2-3년, EPDM은 3-5년 정도 사용하면 경화가 시작되므로 이 시기에 점검하세요.

 

Q3: 같은 밸브인데 왜 씰링 재질이 다른 경우가 있나요?

밸브에는 여러 개의 씰링이 사용되는데, 각각의 역할과 노출 조건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유체와 직접 접촉하는 시트는 내화학성이 중요하고, 스템 패킹은 마모 저항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한 밸브에서도 FKM, PTFE, EPDM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Q4: 온도가 올라가면 고무 씰링이 녹나요?

고무는 녹는 것이 아니라 '열분해'됩니다. NBR은 120℃, EPDM은 150℃ 이상에서 분해가 시작되어 끈적한 액체로 변합니다. 이때 독성 가스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재질의 최대 사용온도를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고온에서는 FKM(200℃)이나 PTFE(260℃)를 사용하세요.

 

Q5: 씰링 재질 때문에 식품이 오염될 수 있나요?

일반 공업용 고무에는 인체에 해로운 첨가제가 들어있어 식품 접촉 시 용출될 수 있습니다. 식품용 밸브에는 반드시 FDA나 KS 인증을 받은 식품용 등급 재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특히 검은색 고무는 카본블랙이 들어있어 식품용으로 부적합하므로 흰색이나 투명한 식품용 재질을 선택하세요.


연관태그 

 

※ 본 블로그의 모든 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기반하고 있으나, 실제 적용 시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김상철, 박재현. (2023). 산업용 밸브 씰링 시스템의 재질 선정 및 성능 평가. 한국기계학회논문집, 47(8), 1123-1135.

이동훈, 최민수. (2024). 부식성 환경에서의 엘라스토머 재질 특성 분석. 한국부식방지학회지, 23(4), 245-258.

정수환, 김태영. (2023). 고온 고압 조건에서 씰링 재질의 내구성 평가. 대한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56-162.

한국산업표준. (2024). KS B 2021: 밸브의 씰링 재질 선정 기준. 한국표준협회.

박동수, 이철민. (2023). 화학공정용 씰링재료의 장기 신뢰성 평가. 한국화학공학회지, 61(3), 412-425.


더 많은 전문 기술 정보는 www.wittguy.kr에서 확인하세요.

 

WITTGUY 의 지식 저장소

Home Page

www.wittgu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