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 유체 제어 장비, 가스 관련 설비에서 나사 규격은 단순한 연결이 아닌, 기밀성과 안전성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입니다. 외형이 유사해 혼동하기 쉬운 PT, NPT, G 규격은 실제로 기준, 구조, 씰링 방식에 있어 명확한 차이를 가집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세 가지 나사 규격의 차이점과 각각의 대한민국 국가표준(KS) 기준을 정리해 드립니다.
1. PT 나사 (Pipe Thread – ISO Tapered)
- 국제 규격: ISO 7-1 (일본 JIS B0203)
- 한국 규격: KS B 0222 (관용 테이퍼 나사)
- 형태: 수나사·암나사 모두 테이퍼형
- 나사 각도: 55도
- 씰링 방식: 테프론 테이프 또는 액상 실란트를 사용한 나사 체결 방식
- 특징: 체결 시 나사 면 자체에서 씰링 효과 발생
- 주요 사용처: 고압 가스, 산업용 레귤레이터, 반도체용 배관 등
- 사용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권
2. NPT 나사 (National Pipe Taper)
- 국제 규격: ANSI B1.20.1 (미국 규격)
- 한국 규격: KS B 0223 (관용 미국식 테이퍼 나사)
- 형태: 수나사·암나사 모두 테이퍼형
- 나사 각도: 60도
- 씰링 방식: 테프론 테이프 또는 액상 실란트를 이용한 체결
- 특징: PT와 유사하지만 각도 및 나사산 형상이 다르므로 호환 불가
- 주요 사용처: 미국 설비 기반 장비, 유체 제어 기기
- 사용국: 미국, 캐나다 등 북미
3. G 나사 (British Standard Pipe Parallel, BSPP)
- 국제 규격: ISO 228
- 한국 규격: KS B 0221 (관용 평행 나사)
- 형태: 수나사·암나사 모두 평행형
- 나사 각도: 55도
- 씰링 방식: 가스켓 또는 O-링을 활용한 면 씰링 방식
- 특징: 나사끼리의 체결로는 기밀 불가능, 별도 씰링 부품 필수
- 주요 사용처: 냉각수, 저압 유체, 유압 설비 등
- 사용국: 유럽, 중국 등
표로 보는 규격 요약 비교
구분 | 나사형태 | 나사각도 | 국제규격 | 한국KS규격 | 씰링방식 | 주요사용국 |
PT | 테이퍼 | 55도 | ISO 7-1 | KS B 0222 | 테프론 테이프 / 실란트 | 한국, 일본 등 |
NPT | 테이퍼 | 60도 | ANSI B1.20.1 | KS B 0223 | 테프론 테이프 / 실란트 | 미국 등 북미 |
G | 평행 | 55도 | ISO 228 | KS B 0221 | 가스켓 / O-링 | 유럽, 중국 등 |
실무에서 알아두면 좋은 추가 정보
- BSPT와 PT의 관계
- BSPT(British Standard Pipe Taper)는 PT와 동일한 규격으로 볼 수 있음
- 역사적으로 영국에서 시작되어 ISO 7-1로 국제 표준화됨
- NPTF(Dryseal) 나사
- NPT의 변형으로, 테프론 테이프 없이도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버전
- 일반 NPT보다 더 정밀한 가공과 마감이 필요
- 혼용 시 주의사항
- PT와 NPT: 나사산 각도 차이(55° vs 60°)로 인해 누설 가능성 높음
- 테이퍼와 평행 나사 혼용: 별도 씰링 방식이 필요하며, 파손 위험 있음
- 적절한 체결 토크
- 테이퍼 나사(PT, NPT): 소재와 크기에 따라 적정 토크 값 적용 필요
- 과도한 토크는 나사산 파손의 원인이 됨
FAQ - 배관 나사 규격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PT와 NPT 나사를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1: 육안으로는 구별이 매우 어렵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나사 게이지(thread gaug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나사 게이지가 없다면 PT와 NPT는 나사산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PT 55°, NPT 60°), 같은 규격의 피팅을 맞춰볼 때 체결감이 달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NPT끼리는 매끄럽게 체결되지만, PT와 NPT를 혼용하면 초반에는 잘 들어가다가 점점 뻑뻑해지는 느낌이 납니다.
Q2: G 나사에도 테프론 테이프를 사용해도 될까요?
A2: G 나사(BSPP)는 평행 나사이기 때문에 테프론 테이프만으로는 완벽한 씰링이 불가능합니다. G 나사는 반드시 가스켓, O-링, 와셔 등의 별도 씰링 요소가 필요합니다. 테프론 테이프는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는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기밀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Q3: PT, NPT, G 나사의 호칭 크기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A3: 이 세 가지 나사 모두 인치 단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1/2'은 약 1/2인치(12.7mm)를 의미하지만, 이는 정확한 나사 외경이 아닌 해당 나사가 사용되는 배관의 공칭 내경에 가까운 값입니다. 따라서 R 1/2, NPT 1/2, G 1/2는 모두 약 1/2인치 배관에 사용하는 나사라는 의미입니다.
Q4: 나사산에 액상 실란트와 테프론 테이프를 함께 사용해도 되나요?
A4: 일반적으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면 오히려 씰링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테프론 테이프가 액상 실란트의 경화를 방해하거나, 실란트가 테프론 테이프를 밀어내어 나사산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둘 중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PT(BSPT) 수나사와 G(BSPP) 암나사를 혼용할 수 있나요?
A5: 제한적으로 가능하지만 권장하지 않습니다. 테이퍼 수나사(PT)와 평행 암나사(G)의 조합은 초기에는 맞물릴 수 있으나, 완전한 기밀성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조합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추가 씰링 처리(테프론 테이프 다량 사용 등)가 필요하며, 높은 압력이나 위험한 유체에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Q6: 테프론 테이프를 감는 올바른 방향이 있나요?
A6: 네, 있습니다. 테프론 테이프는 나사를 조이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감아야 합니다. 반대 방향으로 감으면 체결 시 테이프가 밀리거나 찢어질 수 있습니다. 나사산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오른쪽에서 왼쪽으로)으로 감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Q7: 해외 제품 사용 시 나사 규격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A7: 제품 사양서나 카탈로그를 먼저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미국, 캐나다 제품은 NPT, 유럽 제품은 G(BSPP) 또는 BSPT, 일본 제품은 PT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확실하지 않다면 제조사에 직접 문의하거나, 표준 나사 게이지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Q8: KS 규격에서 PT, NPT, G 나사의 정확한 명칭은 무엇인가요?
A8: KS 규격에서는 다음과 같이 명명합니다:
- PT(BSPT): KS B 0222 "관용 테이퍼 나사"
- NPT: KS B 0223 "관용 미국식 테이퍼 나사"
- G(BSPP): KS B 0221 "관용 평행 나사"
Q9: 나사 체결 시 적정 토크는 어떻게 결정하나요?
A9: 적정 토크는 나사 크기, 재질, 씰링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제조사가 제공하는 토크 값을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토크 값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금속 재질 테이퍼 나사는 손으로 조인 후 렌치로 1~2회전 정도 추가 조임이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입니다. 과도한 토크는 나사산 파손을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Q10: 배관 설비에서 나사 규격을 혼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은 무엇인가요?
A10: 나사 규격 혼용 시 최악의 상황으로는 심각한 누설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연성 가스, 고압 유체, 유독성 물질을 다루는 배관에서 누설이 발생하면 화재, 폭발, 환경오염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누설을 막기 위해 과도한 힘으로 조이면 나사산이 파손되어 배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국가기술표준원. (2022). KS B 0221 관용 평행 나사. 한국표준정보망(KS).
국가기술표준원. (2022). KS B 0222 관용 테이퍼 나사. 한국표준정보망(KS).
국가기술표준원. (2022). KS B 0223 관용 미국식 테이퍼 나사. 한국표준정보망(K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9). ISO 7-1: Pipe threads where pressure-tight joints are made on the threads — Part 1: Dimensions, tolerances and designation.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8). ISO 228-1: Pipe threads where pressure-tight joints are not made on the threads — Part 1: Dimensions, tolerances and designation. ISO.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9). ASME B1.20.1: Pipe Threads, General Purpose, Inch. ASME.
Smith, P. (2018). Piping materials guide (2nd ed.). Elsevier Science.
Nayyar, M. L. (2017). Piping handbook (8th ed.). McGraw-Hill Education.
(주)세화하이테크
산업용 가스 제어기기 및 안전장치 전문기업
대표번호: 032-624-3800
이메일: sehwa@gasplus.com
홈페이지: www.gasplus.com
(주)세화하이테크
가스 레귤레이터,MFC,역화방지기,가스혼합기,릴리프밸브,유량계,가스분석기
www.gasplus.com
'00_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KS/JIS 플렌지 표기법 이해하기 - 플렌지 규격 마스터 시리즈 2.5회 (0) | 2025.04.26 |
---|---|
플렌지 규격 마스터 시리즈 2회: KS/JIS 규격 플렌지 상세 분석 (1) | 2025.04.25 |
플렌지 규격 마스터 시리즈 1회: 플렌지 기초 및 규격 체계 이해 (0) | 2025.04.25 |
SilcoNert 2000: 초고순도 분석용 가스라인을 위한 최적의 내흡착 코팅 솔루션 (0) | 2025.04.23 |
파이프 규격 비교표: KS / JIS / DIN / ANSI 기준 정리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