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_자주묻는 질문(FAQ)

[FAQ] 안전밸브 누설 원인과 해결책 완벽 가이드

WITTGUY 2025. 7. 3. 21:57

 

안녕하세요 WITTGUY 입니다.

산업현장에서 안전밸브가 설정압력에서 개방된 후 완전히 밀폐되지 않는 문제는 공정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중요한 이슈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불필요한 압력 손실과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정확한 원인 파악과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목차

  1. 안전밸브 밀폐 불량 주요 원인
  2. 밸브 시트 관련 문제점
  3. 기계적 결함 유형
  4. 운전 조건 영향 요인
  5. 체계적 진단 방법
  6. 현장 해결책 및 개선 방안
  7. 예방 점검 관리 방법

1. 안전밸브 밀폐 불량 주요 원인

안전밸브가 설정압력에서 개방된 후 완전히 밀폐되지 않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밸브 시트 훼손 및 이물질 개입

가장 흔한 원인은 밸브 시트의 손상입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 기술지침에 따르면, 밸브 시트 훼손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밸브 시트 훼손 유형

손상 유형 원인 누설 정도
표면 거칠기 부식, 마모 경미한 누설
스크래치 이물질 개입 중간 누설
변형 과도한 압력 심한 누설
부식 화학적 침식 상당한 누설

출처: KOSHA GUIDE D-18-2020,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1.2 이물질 축적

시트 면에 이물질이 끼어 완전한 밀폐를 방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이물질이 문제를 일으킵니다.

  • 공정 중 발생하는 고형물
  • 부식 생성물
  • 스케일 또는 침전물
  • 유체 중 불순물

2. 밸브 시트 관련 문제점

2.1 시트 면 손상 메커니즘

안전밸브 시트 면의 손상은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발생합니다.

시트 손상 진행 과정

  1. 초기 마모 발생
  2. 미세 누설 시작
  3. 침식 가속화
  4. 심각한 누설 발생

2.2 안전밸브 재질 선정 기준

안전밸브 재질은 취급하는 유체에 대하여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합니다.

 

주철(Cast iron) 재질 사용 제한

  • 설계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13bar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 금지
  • 설계온도가 220℃를 초과하거나 0℃ 미만인 경우 사용 금지
  • 독성가스 또는 가연성가스용 안전밸브의 내압부 사용 금지

 

고압가스용 안전밸브 재질 제한  

재질 유형 영문 사용 제한 조건
회주철품(KS D 4301) Gray Cast Iron 독성/가연성가스용, 설정압력 0.2MPa 이상, 온도 0℃ 미만 또는 250℃ 초과 시 내압부 사용 금지
구상흑연주철품/가단주철품 Ductile Cast Iron/Malleable Cast Iron 독성/가연성가스용, 설정압력 0.2MPa 이상, 설정압력 1.6MPa 초과, 온도 0℃ 미만 또는 250℃ 초과 시 내압부 사용 금지
덕타일철주조품/맬리어블철주조품 Ductile Iron Casting/Malleable Iron Casting 독성가스(TLV-TWA 1ppm 이하), 설정압력 2.1MPa 초과, 온도 -5℃ 미만 또는 350℃ 초과 시 내압부 사용 금지

 

재질 선정 원칙

  • 배출되는 내용물질의 부식성, 온도 및 압력에 적합한 재질 선택
  •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기준에 따른 상세 재질 선정
  • 허용인장응력은 KGS AC111 기준 적용

출처: KOSHA GUIDE D-26-2012,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

출처: KGS AA319-2016, 고압가스용 안전밸브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재검사 기준

출처: KOSHA GUIDE D-63-2018,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3. 기계적 결함 유형

3.1 스프링 관련 문제

안전밸브 스프링의 기계적 결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스프링 피로 또는 파손
  • 스프링 상수 변화
  • 부식으로 인한 고착
  • 온도 변화에 따른 탄성 변화

출처: KGS AA319-2016, 고압가스용 안전밸브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재검사 기준

3.2 가이드 및 스템 문제

가이드 시스템 결함

  • 가이드 마모로 인한 정렬 불량
  • 스템 변형 또는 손상
  • 가이드 클리어런스 과대
  • 부식으로 인한 작동 불량

출처: KGS AA319-2016, 고압가스용 안전밸브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재검사 기준


4. 운전 조건 영향 요인

4.1 온도 조건

안전밸브의 설치위치 온도가 110℃ 이상 또는 -60℃ 이하인 경우 온도 보정이 필요합니다. 온도 변화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칩니다.

 

온도 영향  

온도 조건 영향 대응 방안
고온 열팽창, 재질 변화 온도 보정
저온 취성 증가 재질 선택
온도 변화 열응력 발생 열보상

출처: KOSHA GUIDE D-18-2020,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4.2 배압 조건

배압이 설정압력의 10%를 초과하는 경우 밸브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배압 영향 기준

  • 10% 이하: 일반형 안전밸브 사용 가능
  • 10~30%: 벨로우즈형 안전밸브 필요
  • 30% 초과: 파일럿 작동형 검토 필요

출처: KOSHA GUIDE D-31-2012, 열팽창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

4.3 배압 발생 주요 원인

실내 안전밸브 설치 시 배압 문제

실내에 여러 개의 안전밸브를 설치할 때 외부 출구를 하나로 묶어서 배출하는 경우 배압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배압 발생 메커니즘

원인 문제점 결과
배출 헤더 용량 부족 여러 밸브 동시 작동 시 압력 상승 배압 증가
출구 직경 부적절 유속 과다로 인한 압력 손실 성능 저하
배관 길이 과다 마찰 손실 증가 배압 상승
출구 설계 불량 부적절한 분기 설계 유동 불균형

출처: KOSHA GUIDE D-63-2018,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4.4 배압 방지 설계 원칙

외부 출구 설계 필수 고려사항

  1. 배출 헤더 용량 산정
    • 동시 작동 가능한 모든 안전밸브 배출량 합계
    • 설계 여유율 20% 이상 적용
    • 최대 배출 시나리오 검토
  2. 출구 직경 결정
    • 개별 안전밸브 토출 직경의 1.5배 이상
    • 유속 제한: 음속의 50% 이하 유지
    • 압력 손실 최소화 설계
  3. 배관 경로 최적화
    • 최단 경로 배관 설계
    • 급격한 방향 변화 최소화
    • 적절한 배관 지지 설치

⚠️ 설계 시 주의사항

  • 반드시 전체 배출용량에 적합한 외부출구 설계 필수
  • 개별 안전밸브 성능 보장을 위한 배압 관리
  • 정기적인 배압 측정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출처: KOSHA GUIDE D-63-2018,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5. 체계적 진단 방법

5.1 1차 진단 방법

현장 점검 항목

  1. 외관 점검
  2. 누설 정도 확인
  3. 작동 압력 측정
  4. 배압 조건 확인
  5. 온도 조건 점검

출처: KOSHA GUIDE D-26-2012,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

5.2 2차 진단 방법

정밀 진단 방법

  • 밸브 분해 점검
  • 시트 면 상태 확인
  • 스프링 상태 점검
  • 가이드 클리어런스 측정
  • 내부 이물질 확인

출처: KGS AA319-2016, 고압가스용 안전밸브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재검사 기


6. 현장 해결책 및 개선 방안

6.1 즉시 조치 방안

긴급 대응 방법

  1. 누설량 모니터링
  2. 안전 조치 실시
  3. 임시 보완 조치
  4. 제조사 또는 전문업체 AS 의뢰

출처: KOSHA GUIDE D-18-2020,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6.2 근본적 해결 방안

전문업체 AS 의뢰 절차

단계 작업 내용 담당
1단계 문제 상황 보고 현장 운전원
2단계 안전밸브 분해 점검 전문업체
3단계 시트 면 재가공/교체 전문업체
4단계 조립 및 성능 시험 전문업체

 

⚠️ 안전 주의사항

  • 안전밸브 분해 작업은 반드시 제조사 또는 전문업체에 의뢰
  • 임의 분해 시 안전사고 및 성능 저하 위험
  • 작업 중 공정 안전을 위한 임시 보완 조치 필수

 

6.3 현실적 대비 방안

예비용 안전밸브 구비 필요성

  • 정기보수 시 공정 중단 최소화
  • 긴급 상황 시 즉시 교체 가능
  • 연간 유지보수 비용 절감 효과

예비품 관리 기준

  • 주요 설비: 100% 예비품 확보
  • 일반 설비: 50% 예비품 확보
  • 동일 규격 통합 관리로 효율성 향상

7. 안전밸브 압력 관련 주요 용어

7.1 기본 압력 용어

핵심 압력 정의

용어 영문 정의
설정압력 Set Pressure 안전밸브가 열리도록 설정한 압력
축적압력 Accumulated Pressure 안전밸브 작동 시 설비 내에서 순간적으로 허용되는 최대압력
최고허용압력 MAWP (Maximum Allowable Working Pressure) 용기 상부에서 허용 가능한 최고 압력
초과압력 Overpressure 안전밸브 배출 시 설정압력 이상으로 올라가는 압력
배압 Back Pressure 토출측 처리설비로부터 안전밸브 토출측에 걸리는 압력

출처: KOSHA GUIDE D-26-2012,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

 

7.2 압력 종류별 세부 분류

배압(Back Pressure) 유형

  • 중첩배압(Superimposed Back Pressure): 안전밸브 작동 전에 토출측에 걸리는 정압
  • 누적배압(Built-up Back Pressure): 안전밸브 작동 후에 유체방출로 인하여 발생하는 토출측 압력증가량

출처: KOSHA GUIDE D-63-2018,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압력 기준값

압력 구분 일반 보호용 화재 보호용
1개 설치 시 축적압력 MAWP(최고허용압력)의 110% 이하 MAWP (최고허용압력) 의 121% 이하
2개 이상 설치 시 축적압력 MAWP (최고허용압력) 의 116% 이하 MAWP (최고허용압력) 의 121% 이하

출처: KOSHA GUIDE D-18-2020,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7.3 작동 특성 용어

 

안전밸브 작동 관련 용어

용어 영문 설명
분출개시압력 Opening Pressure 실제로 안전밸브가 열리기 시작하는 압력
전량분출압력 Full Lift Pressure 안전밸브가 완전히 열려 설계 용량을 배출하는 압력
폐쇄압력 Closing Pressure 안전밸브가 다시 닫히는 압력 (재착좌압력)
블로우다운 Blowdown 설정압력과 폐쇄압력의 차이 (설정압력 대비 %)
임계흐름 Critical Flow 토출측 유체 속도가 음속보다 큰 경우
기밀성능 Seat Tightness 설정압력의 90% 이상에서 누출이 없는 성능

출처: KGS AA319-2016, 고압가스용 안전밸브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재검사 기준

 

7.4 폐쇄압력 및 블로우다운 기준

 

폐쇄압력(Closing pressure) 기준값

  • KOSHA 기준: 설정압력의 85% 이상에서 완전 폐쇄
  • KGS 기준(고압가스): 설정압력의 90% 이상에서 완전 폐쇄
  • API 기준: 설정압력의 92% 이상 권장

출처: KOSHA GUIDE D-26-2012, KGS AA319-2016, API 526 기준

 

블로우다운의 중요성

  • 안전밸브 성능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
  • 설정압력에서 폐쇄압력을 뺀 값의 설정압력 대비 백분율
  • 일반적으로 설정압력의 4~20% 범위

블로우다운 계산식

블로우다운(%) = (설정압력 - 폐쇄압력) / 설정압력 × 100

 

블로우다운 기준값

안전밸브 유형  블로우다운 폐쇄압력 기준 비고
일반형 스프링식 4~15% 설정압력의 85~96% 표준 적용
벨로우즈형 2~10% 설정압력의 90~98% 배압 영향 최소화
파일럿 작동형 2~7% 설정압력의 93~98% 정밀 제어

출처: ASME BPVC Section VIII 및 API 526 기준


8. 핵심 요약 정리

8.1 안전밸브 누설 주요 원인

밀폐 불량으로 인한 누설의 핵심 원인

  1. 밸브 시트 훼손 - 부식, 마모, 변형으로 인한 표면 손상
  2. 이물질 개입 - 고형물, 스케일, 부식 생성물로 인한 밀폐 방해
  3. 기계적 결함 - 스프링 피로, 가이드 마모, 스템 손상
  4. 운전 조건 부적합 - 온도, 배압 조건이 설계 범위 초과

8.2 설정압력 개방 후 완전 밀폐를 위한 해결책

단계별 문제 해결 방법

  1. 누설 진단 - 외관 점검, 누설량 측정, 운전 조건 확인
  2. 정밀 분석 - 전문업체 의뢰, 시트 면 상태 점검, 내부 부품 검사
  3. 근본 해결 - 시트 재가공/교체, 스프링 교체, 가이드 수리
  4. 예방 관리 - 정기 점검 계획, 예비품 확보, 운전 조건 최적화

8.3 안전밸브 누설 방지 완벽 가이드

성공적인 누설 방지를 위한 핵심 포인트

  • 조기 발견: 정기적인 상태 점검으로 누설 징후 사전 감지
  • 예방 중심: 운전 조건 최적화와 적절한 재질 선정으로 손상 방지
  • 전문 관리: 제조사/전문업체를 통한 정확한 진단과 해결책 적용

FAQ

Q1. 안전밸브가 설정압력에서 개방된 후 완전히 닫히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A1. 주요 원인은 밸브 시트 훼손, 이물질 개입, 스프링 피로, 가이드 마모 등입니다. 특히 밸브 시트 훼손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부식, 마모, 이물질에 의한 손상이 주요 요인입니다.

Q2. 밸브 시트 손상을 어떻게 진단할 수 있습니까?

A2. 1차적으로 외관 점검과 누설 정도를 확인하고, 정밀 진단을 위해서는 밸브를 분해하여 시트 면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표면 거칠기, 스크래치, 변형, 부식 등을 점검합니다.

Q3. 온도 조건이 안전밸브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A3. 110℃ 이상 또는 -60℃ 이하에서는 온도 보정이 필요합니다. 고온에서는 열팽창과 재질 변화가, 저온에서는 취성 증가가 문제가 됩니다. 온도 변화는 열응력을 발생시켜 밸브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Q4. 배압이 안전밸브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됩니까?

A4. 배압이 설정압력의 10%를 초과하면 밸브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10% 이하에서는 일반형, 10~30%에서는 벨로우즈형, 30% 초과 시에는 파일럿 작동형 안전밸브 사용을 검토해야 합니다.

Q5. 안전밸브 밀폐 불량 문제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A5.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일상 점검을 통해 누설 여부를 확인하고, 정기 점검으로 전반적인 상태를 점검하며, 연 1회 오버홀을 통해 내부 부품을 교체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출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0).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KOSHA GUIDE D-18-2020.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 KOSHA GUIDE D-26-201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8).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KOSHA GUIDE D-63-201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열팽창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 KOSHA GUIDE D-31-2012.

한국가스안전공사. (2016). 고압가스용 안전밸브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재검사 기준. KGS AA319-2016.

 

※ 본 블로그의 모든 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기반하고 있으나, 실제 적용 시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안전밸브 법규 및 규정은 하기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wittsehwa.kr/38

 

*** 999_ 자료실(법규_규정)_계속 업로드 합니다 ***

산업 현장에서 가스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현장 실무자분들의 업무 효율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해 고압가스, 역화방지기, 화염방지기, 안전밸브 관련 법규 및 규정들을 쉽

www.wittsehwa.kr

 

 

더 많은 정보는 www.wittguy.kr

 

WITTGUY 의 지식 저장소

Home Page

www.wittgu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