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질규격 JIS/KS/ASTM 국가별 표기법 완벽 가이드
1줄 요약: 제조업 현장에서 필수로 알아야 할 JIS, KS, ASTM, DIN, BS 규격의 국가별 재질 표기법과 대응 관계를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WITTGUY 입니다.
제조업 현장에서 재질 선정과 품질관리를 담당하시는 분들이라면 각국의 재질 표기법 차이로 인해 혼선을 겪으신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동일한 재질임에도 나라별로 다른 표기법을 사용하여 실무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번 포스팅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목차
- 각국 재질 표기법 체계 이해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표기법 비교
- 탄소강 및 주강 표기법 비교
- 주철 표기법 비교
- 실무 활용 대응표
- 표기법 변환 시 주의사항
-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혼동 사례
1. 각국 재질 표기법 체계 이해
주요 국가별 규격 기관
국가 | 규격명 | 기관 표기 | 특징 |
미국 | ASTM | 미국재료시험협회 | A(철강) + 숫자 + Grade |
영국 | BS | 영국표준협회 | 숫자 + 문자 조합 |
독일 | DIN | 독일표준화연구소 | 숫자.숫자 형태 |
한국 | KS | 한국표준협회 | 문자 + 숫자 조합 |
일본 | JIS | 일본공업표준조사회 | 문자 + 숫자 조합 |
표기법 구성 원리
- ASTM 표기법
- A + 숫자 (철강재료)
- Grade 또는 Type으로 세부 구분
- 예: A351 Grade CF8
- DIN 표기법
- 숫자.숫자 형태
- 앞자리: 재료군, 뒷자리: 세부 분류
- 예: 1.4308
- JIS/KS 표기법
- 문자 조합 + 숫자
- SUS/STS + 숫자 (스테인리스강)
- 예: SUS304, STS304
2.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표기법 비교
주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대응표
ASTM | BS | DIN | KS | JIS | 기타 | 비고 |
A351 Gr.CF8C | 3100 Gr.347 C17 | 1.4446 G-X5 | D4103 | G5121 | A32-056 | 347 계열 |
- | - | CrNiNb18.9 | SSC21 | SCS21 | Z6CNNb | Ti 안정화 |
- | - | (WS 1.4552) | - | - | 18.10M | - |
A351 Gr.CF8 | 3100 1631GrA | 8CrNi18.9 | SSC13A | SCS13A | - | STS304 |
A351 Gr.CF8M | 410 C21 1631GrB | 8CrNi1910 | SSC14A | SCS14A | - | STS316 |
A351 Gr.CF3 | - | 1631 Gr.C | SSC19A | SCS19A | - | STS304L |
A351 Gr.CF3M | - | 1632 Gr.F | SSC16A | SCS16A | - | STS316L |
주조품 vs 압연재 표기 차이
구분 | 압연재 | 주조품 | 특징 |
ASTM | 304, 316, 316L | A351 CF8, CF8M, CF3M | 주조품은 A351 + Grade |
JIS | SUS304, SUS316 | SCS13A, SCS14A | 주조품은 SCS |
KS | STS304, STS316 | SSC13A, SSC14A | 주조품은 SSC |
화학성분 차이점
재질 | C | Si | Mn | P | S | Cr | Ni | 비고 |
STS304 | ≤0.08 | ≤1.00 | ≤2.00 | ≤0.045 | ≤0.030 | 18.0~20.0 | 8.0~10.5 | 압연재 |
SSC13A | ≤0.08 | ≤1.50 | ≤1.50 | ≤0.040 | ≤0.030 | 18.0~21.0 | 8.0~11.0 | 주조품 |
3. 탄소강 및 주강 표기법 비교
주요 탄소강 대응표
용명 | JIS | KS | ASTM | 비고 |
탄소강 | SCS410 | SC42 | A27-60 | - |
- | SCW410(SCPH2) | SCW410(SCPH2) | A216-WCB | Valve용 |
스테인리스강 | SCS13 | SSC13 | A351-CF8 | SUS304 |
스테인리스강 | SCS14 | SSC14 | A351-CF8M | SUS316 |
스테인리스강 | SCS16 | SSC16 | A351-CF3M | SUS316L |
압력용기용 주강 표기법
규격 | 재질기호 | 인장강도(MPa) | 항복강도(MPa) | 연신율(%) |
ASTM A216 | WCB | 485~655 | ≥250 | ≥22 |
JIS G5101 | SCPH2 | 400~550 | ≥205 | ≥18 |
KS D4103 | SCPH2 | 400~550 | ≥205 | ≥18 |
4. 주철 표기법 비교
주철 재질 대응표
구분 | JIS | KS | ASTM | 비고 |
주철 | FC200 | GC200 | A126-B | 회주철 |
구상흑연주철 | FC450 | GCD450 | A395 | Valve용 |
주철 표기법 특징
- FC (Flake graphite Cast iron)
- 일본 JIS 표기법
- FC + 숫자 (인장강도 표시)
- FC200 = 인장강도 200MPa
- GC (Gray Cast iron)
- 한국 KS 표기법
- GC + 숫자 (인장강도 표시)
- GC200 = 인장강도 200MPa
- ASTM 표기법
- A + 숫자 + Class
- A126 Class B = FC200/GC200 상당
5. 실무 활용 대응표
밸브용 재질 대응표
용도 | ASTM | JIS | KS | 비고 |
본체 | A216-WCB | SCPH2 | SCPH2 | 탄소강 주조품 |
본체 | A351-CF8 | SCS13A | SSC13A | STS304 주조품 |
본체 | A351-CF8M | SCS14A | SSC14A | STS316 주조품 |
디스크 | A182 F304 | SUS304 | STS304 | STS304 단조품 |
스템 | A479 316 | SUS316 | STS316 | STS316 봉강 |
파이프용 재질 대응표
구분 | ASTM | JIS | KS | 용도 |
탄소강관 | A106 Gr.B | SGP | KSD3507 | 일반배관 |
스테인리스관 | A312 TP304 | SUS304TP | STS304TP | 화학배관 |
스테인리스관 | A312 TP316L | SUS316LTP | STS316LTP | 내식성배관 |
6. 표기법 변환 시 주의사항
변환 시 체크포인트
- 화학성분 허용범위 확인
- 탄소 함량 차이
- 합금원소 범위 차이
- 불순물 허용 한계
- 기계적 성질 비교
- 인장강도 범위
- 항복강도 최소값
- 연신율 요구값
- 제조방법 차이
- 압연재 vs 주조품
- 열처리 조건
- 표면처리 요구사항
실무 적용 절차
- ☐ 고객 지정 규격 확인
- ☐ 대응표를 통한 1차 매칭
- ☐ 화학성분 상세 비교
- ☐ 기계적 성질 검증
- ☐ 고객 승인서 취득
- ☐ 시험성적서 발행 확인
7.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혼동 사례
사례 1: SUS304와 CF8 혼동
문제상황:
- 고객이 SUS304 요구
- 공급업체가 CF8 제안
해결방법:
- SUS304는 압연재 표기
- CF8는 주조품 표기
- 용도에 따라 적절한 형태 선택 필요
사례 2: 316과 316L 구분 문제
문제상황:
- 316L 지정 도면에 316 적용
- 탄소 함량 차이로 문제 발생
해결방법:
- 316: C ≤ 0.08%
- 316L: C ≤ 0.035%
- 용접성 고려하여 정확한 Grade 적용
사례 3: WCB와 SCPH2 호환성
문제상황:
- ASTM A216 WCB 지정
- 국산 SCPH2로 대체 요청
해결방법:
- 기계적 성질 비교 검토
- 화학성분 범위 확인
- 고객 승인 후 적용
예방책
- 도면 검토 시
- 재질 표기 정확성 확인
- 용도별 적합성 검토
- 대체재 가능성 사전 협의
- 견적 단계
- 정확한 규격 적용
- 대체재 제안 시 근거 제시
- 추가 비용 요인 명시
- 제작 단계
- 밀시트 재질 표기 확인
- 시험성적서 규격 일치성 점검
- 품질관리 문서 정비
용어정리
주요 제조방법 및 재질 용어 설명
용어 | 한자 | 영문 | 의미 | 특징 | 대표 제품 |
주조 | 鑄造 | Casting | 용융금속을 주형에 부어 성형 | 복잡한 형상 제작 가능 | 밸브몸체, 펌프케이싱 |
단조 | 鍛造 | Forging | 고온에서 압력을 가해 성형 | 강도가 높고 조직이 치밀 | 플랜지, 축, 볼트 |
주철 | 鑄鐵 | Cast Iron | 탄소 2.1% 이상 철합금을 주조 | 주조성 우수, 저렴 | FC200, GCD450 |
주강 | 鑄鋼 | Cast Steel | 탄소강을 주조하여 제조 | 용접성 양호, 가공 용이 | WCB, SCPH2 |
압연 | 壓延 | Rolling |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성형 | 대량생산, 균일한 품질 | 강판, 형강, 봉강 |
재질 표기법에서 주조품 구분
구분 | 압연재/단조재 | 주조품 | 비고 |
스테인리스강 | SUS304, STS304 | SCS13A, SSC13A | 주조품은 SC로 시작 |
탄소강 | SS400, SM400 | SC410, SCPH2 | 주조품은 SC로 시작 |
ASTM 표기 | 304, 316 | A351 CF8, CF8M | A351 시리즈는 주조품 |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어
약어 | 의미 | 설명 |
CF8 | Cast Fittings 8 | ASTM 304계 주조품 |
CF8M | Cast Fittings 8 Modified | ASTM 316계 주조품 |
WCB | Weldable Cast B | ASTM 탄소강 주조품 |
SCS | Stainless Cast Steel | JIS 스테인리스 주강 |
SSC | Stainless Steel Casting | KS 스테인리스 주강 |
FAQ
Q1. 같은 재질인데 왜 나라마다 표기가 다른가요?
A: 각국의 산업 발전 과정과 표준화 시기가 달라서 독자적인 표기법이 발달했습니다. 현재는 국제적으로 통합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Q2. ASTM 316과 JIS SUS316이 완전히 동일한가요?
A: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화학성분 허용범위나 기계적 성질에서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정확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Q3. CF8과 SUS304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CF8는 주조품 표기이고 SUS304는 압연재 표기입니다. 화학성분은 유사하지만 제조방법과 조직이 다릅니다.
Q4. 대응표에 없는 재질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해당 규격서를 직접 확인하거나 재료 전문업체에 문의하여 화학성분과 기계적 성질을 비교 검토해야 합니다.
Q5. 밸브용 재질에서 Valve用이라는 표기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밸브 제조에 특화된 재질로 내압성, 내식성, 가공성 등이 밸브 사용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출처
한국표준협회. (2023). 한국산업표준 KS D 4103 스테인리스강 주강품. 서울: 한국표준협회.
일본공업표준조사회. (2023). JIS G 5121 스테인리스강 주강품. 도쿄: 일본표준협회.
ASTM International. (2023). ASTM A351 Standard Specification for Castings, Austenitic, for Pressure-Containing Parts. West Conshohocken: ASTM International.
DIN 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2023). DIN EN 10283 Castings - Corrosion resistant steels. Berlin: DIN.
대한밸브공업협동조합. (2022). 밸브용 재료 표준 가이드북. 서울: 대한밸브공업협동조합.
※ 본 블로그의 모든 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기반하고 있으나, 실제 적용 시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기술정보와 실무 가이드는 www.wittguy.kr
WITTGUY 의 지식 저장소
Home Page
www.wittgu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