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_기술자료

산업용 가스 장비 유량표 읽는 법: 압력-유량 관계 분석

WITTGUY 2025. 9. 8. 19:37

안녕하세요 WITTGUY 입니다.

가스 설비 설계와 운영에서 각종 장비의 유량표를 정확히 해석하는 능력은 엔지니어에게 필수적인 역량입니다. 레귤레이터, 역화방지기, 필터, 체크밸브 등 각 장비마다 고유한 압력-유량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올바르게 이해해야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실제 제품의 유량표를 통해 입구압력, 출구압력, 차압, 유량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각 장비별 이상적인 선정 기준을 제시하여 현장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해석 방법을 제공합니다.

 

목차

  1. 유량표 기본 구성 요소 이해
  2. 레귤레이터 유량표 분석 (TESCOM 44-2200)
  3. 역화방지기 유량표 분석 (WITT RF53N/H-ES)
  4. 필터 유량표 분석 (WITT 77 모델)
  5. 체크밸브 유량표 분석 (WITT ULTRA 10-ES)
  6. 장비별 유량 특성 비교 분석
  7. 전문 용어 정리
  8. 장비별 이상적인 제품 선정 기준

1. 유량표 기본 구성 요소 이해

핵심 4대 요소

모든 가스 장비의 유량표는 다음 4가지 요소의 관계로 구성됩니다:

요소 기호 단위 의미
입구압력 P₁ bar, psig 장비 입구에서의 압력
출구압력 P₂ bar, psig 장비 출구에서의 압력
차압 ΔP bar, psi P₁ - P₂ (압력 차이)
유량 Q LPM, Nm³/h 표준상태 기준 유량

 

기본 관계식

차압(ΔP) = 입구압력(P₁) - 출구압력(P₂)
유량(Q) ∝ √ΔP (대부분의 장비에서 성립)

출처: 한국기계연구원. (2022). 유체역학 기초 이론.


2. 레귤레이터 유량표 분석 (TESCOM 44-2200)

레귤레이터 특성 분석

TESCOM 44-2200 시리즈 유량표에서 주목할 점:

 

그래프 구성:

  • X축: 유량 (LPM 질소 기준)
  • Y축: 출구압력 (psig, bar)
  • 각 곡선: 입구압력별 성능선

실제 유량표 해석 사례

사례 1: 입구압력 138bar, 출구압력 17.2bar 조건

  • 최대 유량: 793 LPM
  • 차압: 138 - 17.2 = 120.8bar
  • 이상적인 유량 구간 (50-70%): 400-555 LPM
  • 400 LPM에서 출구압력: 약 17.0bar (차압 121.0bar)
  • 555 LPM에서 출구압력: 약 16.8bar (차압 121.2bar)
  • 드룹: 17.2 - 16.8 = 0.4bar (약 2.3%)

사례 2: 입구압력 138bar, 출구압력 6.9bar 조건

  • 최대 유량: 680 LPM
  • 차압: 138 - 6.9 = 131.1bar
  • 이상적인 유량 구간 (50-70%): 340-476 LPM
  • 340 LPM에서 출구압력: 약 6.8bar (차압 131.2bar)
  • 476 LPM에서 출구압력: 약 6.6bar (차압 131.4bar)
  • 드룹: 6.9 - 6.6 = 0.3bar (약 4.3%)

출처: TESCOM Corporation. (2023). 44-2200 Series Technical Manual.

드룹(Droop) 현상 상세 분석

드룹의 정의: 드룹은 레귤레이터에서 가스 사용량이 증가할 때 출구압력이 점진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드룹 발생 과정:

가스 미사용 → 출구압력 10.0bar (설정압력)
↓
소량 사용 → 출구압력 9.8bar (0.2bar 감소)
↓
대량 사용 → 출구압력 9.5bar (0.5bar 감소)

 

드룹 계산식:

드룹(%) = (가스 미사용시 압력 - 최대 사용시 압력) / 설정압력 × 100

 

입구압력에 따른 드룹 특성 :

  • 고압 입구 (207bar): 드룹 1.2% (우수한 성능)
  • 중압 입구 (138bar): 드룹 2.3-4.3% (일반적 성능)
  • 저압 입구 (69bar): 드룹 5-8% (성능 저하)

출처: 한국가스안전공사. (2023). 압력조정기 성능 기준.

레귤레이터 유량표 해석 방법

  • Step 1: 입구압력과 출구압력 확인
    • 공급 가스의 압력 확인
    • 필요한 출구압력 설정값 확인
    • 해당 압력 곡선 선택
    Step 2: 최대 유량 확인
    • X축 끝점에서 해당 곡선의 유량 읽기
    • 시스템 최대 요구량과 비교
    Step 3: 이상적인 운전점 확인
    • 최대 유량의 50-70% 구간에서 운전
    • 해당 유량에서 출구압력 변화 확인
    • 드룹 계산으로 성능 평가

3. 역화방지기 유량표 분석 (WITT RF53N/H-ES)

역화방지기 특성 분석

RF53N/H-ES 모델의 유량표 특징:

그래프 구성:

  • X축: 입구압력 Pv (bar)
  • Y축: 유량 (Nm³/h)
  • 각 곡선: 차압(ΔP) 조건별 성능선

차압별 성능 데이터

입구압력 3bar 조건에서의 성능:

차압 조건 유량 (Nm³/h) 유량 (LPM)   출구압력 비고
ΔP = 0.1bar 약 1 17 2.9bar 최소 차압
ΔP = 0.3bar 약 2 33 2.7bar 표준 운전
ΔP = 0.6bar 약 3 50 2.4bar 고유량
ΔP = Pv 약 6 100 0bar 대기 방출

출처: WITT-GASETECHNIK GmbH. (2023). RF53N/H-ES 제품 카탈로그.

역화방지기 유량표 해석 방법

Step 1: 운전 조건 확인

  • 시스템 입구압력 확인
  • 하류 장비의 요구 압력 확인

Step 2: 차압 계산

차압 = 입구압력 - 하류 요구압력

 

Step 3: 해당 차압 곡선에서 유량 확인

  • 입구압력에서 수직선
  • 해당 차압 곡선과의 교점에서 유량 읽기

4. 필터 유량표 분석 (WITT 77 모델)

필터 모델 77(40마이크론)

FILTER 77

 

WITT 77 (40μm) 필터의 유량표:

 

그래프 구성:

  • X축: 입구압력 Pv (bar)
  • Y축: 유량 (Nm³/h)
  • 곡선: 차압별 성능 (ΔP = 0.3bar, 0.6bar, Pv)

필터 압력 손실 특성

입구압력 10bar 조건에서:

차압 유량 (Nm³/h) 유량 (LPM) 압력 효율 적용 분야
0.3bar 약 400 6,667 97% 일반 여과
0.6bar 약 600 10,000 94% 고유량
Pv 약 2000 33,333 - 비상 방출

출처: WITT-GASETECHNIK GmbH. (2023). Model 77 Filter 기술 자료.

필터 유량표 활용법

오염도에 따른 성능 변화:

  • 신품 필터: 그래프 성능 100%
  • 50% 오염: 그래프 성능의 70-80%
  • 80% 오염: 그래프 성능의 50-60%

교체 시점 판단:

실제 차압 > 설계 차압 × 1.5배 → 필터 교체 필요

출처: 한국산업표준. (2022). KS B 6321 가스 필터 기준.


5. 체크밸브 유량표 분석 (WITT ULTRA 10-ES)

체크밸브 ULTRA10-ES

 

ULTRA 10-ES 체크밸브의 유량표:

그래프 구성:

  • X축: 입구압력 Pv (bar)
  • Y축: 유량 (Nm³/h)
  • 차압 곡선: 0.3bar, 0.6bar

체크밸브 압력 손실

입구압력 4bar 조건에서:

차압 유량 (Nm³/h) 유량 (LPM) 크래킹 압력(개방압력)  전류 방향
0.3bar 약 150 2,500 50mbar 순방향
0.6bar 약 200 3,333 - 순방향
역류 0 0 - 차단

출처: WITT-GASETECHNIK GmbH. (2023). ULTRA 10-ES 제품 사양서.

체크밸브 설계 고려사항

크래킹 압력(Cracking Pressure, 개방압력):

  •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는 최소 압력
  • 일반적으로 30-100mbar

압력 손실 최소화:

설계 차압 < 시스템 압력의 5%

출처: 대한기계학회. (2023). 밸브 설계 표준.


6. 장비별 유량 특성 비교 분석

장비별 압력 손실 특성

장비 종류 주요 기능 일반적 압력 손실 유량제어 특성
레귤레이터 압력 조정 입구압력 의존 출구압력 일정
역화방지기 화염 차단 0.1-1.0bar 차압 비례
필터 이물질 제거 0.1-0.5bar 오염도 의존
체크밸브 역류 방지 50-300mbar 크래킹 압력

시스템 설계 시 고려사항

압력 손실 계산:

총 압력 손실 = Σ(각 장비별 압력 손실 + 배관 손실)

 

안전율 적용:

설계 압력 = 필요 압력 + 총 압력 손실 + 안전율(20%)

출처: 한국가스안전공사. (2023). 가스설비 설계 기준.


7. 전문 용어 정리

기본 용어

용어  영문 정의  단위
입구압력 Inlet Pressure 장비 입구 측 압력 bar, psig
출구압력 Outlet Pressure 장비 출구 측 압력 bar, psig
차압 Differential Pressure (ΔP) 입구압력과 출구압력의 차이 bar, psi
유량 Flow Rate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가스량 LPM, Nm³/h

레귤레이터 관련 용어

용어 영문  정의
드룹 Droop 가스 미사용시와 최대 사용시 출구압력 차이
락업 Lock-up 유량이 0일 때 출구압력 상승 현상
크리핑 Creeping 출구압력이 서서히 증가하는 현상
챗터링 Chattering 밸브가 떨리는 현상

출처: 한국가스안전공사. (2023). 압력조정기 용어 표준.

유량계수

Cv값 (Flow Coefficient)

  • 정의: 1psi 차압에서 60°F 물이 1GPM 흐를 때의 유량계수
  • 계산식: Q = Cv × √(ΔP/SG)
  • 단위: GPM/√psi

Kv값 (Flow Factor)

  • 정의: 1bar 차압에서 20°C 물이 1m³/h 흐를 때의 유량계수
  • 계산식: Q = Kv × √(ΔP/SG)
  • 단위: m³/h/√bar
  • 환산식: Kv = Cv × 0.865

출처: 국제표준기구. (2020). ISO 5167 유량 측정 표준.

가스 관련 용어

용어 영문  정의
표준상태 Standard Condition 0°C, 1.013bar 조건
크래킹 압력(개방압력) Cracking Pressure 체크밸브가 열리는 최소 압력
백프레셰 Back Pressure 하류에서 형성되는 압력
쵸킹 Choking 임계압력비에서 유량이 제한되는 현상

8. 장비별 이상적인 제품 선정 기준

레귤레이터 이상적인 선정 기준

1순위: 드룹 최소화

  • 이상적 조건: 드룹 < 2% (가스 미사용시 대비)
  • 선정 기준: 필요 유량의 50-70% 지점에서 운전
  • 피해야 할 조건: 최대 유량의 90% 이상 사용

2순위: 적절한 입구압력

이상적 입구압력 = 출구압력 × 2~3배

출처: TESCOM Corporation. (2023). 레귤레이터 선정 가이드.

역화방지기 이상적인 선정 기준

1순위: 차압 최소화

  • 이상적 조건: 필요 유량에서 차압 < 0.3bar
  • 선정 방법: 필요 유량의 3-5배 용량 선정
  • 설계 목표: 시스템 압력의 5% 이하 손실

차압별 평가:

차압 범위 평가  권장 적용
< 0.2bar 우수 정밀 공정
0.2-0.5bar 양호 일반 산업
> 0.5bar 부적절 재검토 필요

출처: WITT-GASETECHNIK GmbH. (2023). 역화방지기 선정 기준.

필터 이상적인 선정 기준

1순위: 압력 손실과 여과 성능 균형

  • 이상적 조건: 신품 상태에서 차압 < 0.2bar
  • 선정 기준: 필요 유량의 2-3배 용량
  • 교체 기준: 차압이 초기값의 2배 도달 시

여과도별 권장 차압:

여과도  초기 차압 교체 차압 적용 분야
5μm 0.1bar 0.3bar 정밀 계측
40μm 0.05bar 0.2bar 일반 공정
100μm 0.03bar 0.1bar 거친 여과

출처: 한국산업표준. (2022). KS B 6321 가스 필터.

체크밸브 이상적인 선정 기준

1순위: 크래킹 압력(개방압력) 최소화

  • 이상적 조건: 크래킹 압력 < 50mbar
  • 선정 기준: 필요 유량의 1.5-2배 용량
  • 설계 목표: 정상 운전 시 차압 < 100mbar

크래킹 압력별 평가:

크래킹 압력(개방압력)  평가 적용 시스템
< 30mbar 우수 저압 시스템
30-50mbar 양호 일반 시스템
> 50mbar 부적절 고압만 적용

출처: 대한기계학회. (2023). 체크밸브 설계 기준.

통합 선정 전략

시스템 전체 최적화:

총 압력 손실 = 레귤레이터 드룹 + 역화방지기 차압 + 필터 차압 + 체크밸브 차압
목표: 총 압력 손실 < 공급압력의 10%

 

선정 우선순위:

  1. 안전 기능 확보 (역화방지, 체크 기능)
  2. 압력 손실 최소화
  3. 유지보수 편의성
  4. 경제성

출처: 한국가스안전공사. (2023). 가스시설 통합 설계 가이드.


FAQ

Q1: 유량표에서 곡선이 여러 개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각 곡선은 서로 다른 운전 조건(차압, 입구압력 등)을 나타냅니다. 실제 시스템 조건에 맞는 곡선을 선택하여 성능을 확인해야 합니다.

 

Q2: Cv값과 Kv값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

A2: 국내에서는 SI 단위계인 Kv값 사용을 권장합니다. Cv값은 미국 단위계로, 필요시 Kv = Cv × 0.865로 환산 가능합니다.

 

Q3: 역화방지기 용량을 크게 선정하면 안전성이 떨어지나요?

A3: 아닙니다. 역화방지기는 용량이 클수록 차압이 작아져 시스템 효율은 높아지고, 안전성능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Q4: 필터 교체 주기를 어떻게 결정하나요?

A4: 차압 모니터링을 통해 결정합니다. 초기 차압의 2배에 도달하거나, 설계 차압의 1.5배를 초과하면 교체해야 합니다.

 

Q5: 레귤레이터 드룹이 클 때 해결 방법은?

A5: 더 큰 용량의 레귤레이터로 교체하거나, 입구압력을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효과적인 것은 적정 용량 선정입니다.

 

참고문헌

한국가스안전공사. (2023). 가스설비 설계 및 시공 기준. 한국가스안전공사.

TESCOM Corporation. (2023). 44-2200 Series Regulator Technical Manual. TESCOM.

WITT-GASETECHNIK GmbH. (2023). Flame Arrester Selection Guide. WITT Korea.

한국기계연구원. (2022). 유체기계 성능 평가 표준. 한국기계연구원.

대한기계학회. (2023). 압력 용기 및 배관 설계 기준. 대한기계학회.

한국산업표준. (2022). KS B 6321 가스 필터 기준. 한국표준협회.

국제표준기구. (2020). ISO 5167 유량 측정 표준. ISO.

 

※ 본 블로그의 모든 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기반하고 있으나, 실제 적용 시에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전문 정보는 www.wittguy.kr 에서 확인하세요.

 

WITTGUY 의 지식 저장소

Home Page

www.wittguy.kr